전체 글27 우주정거장에서 해를 여러 번 본다고? 하루 16번 떠오르는 해의 비밀지구에서 바라본 태양은 하루에 한 번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이 흐름은 자연스럽고 규칙적으로 느껴지며, 우리의 생체 리듬과 일상생활의 기준이 된다. 하지만 지구를 벗어나 지구 저궤도를 도는 국제우주정거장(ISS) 에서의 하루는 이와는 매우 다르다.바로 하루에 해가 16번이나 뜨고 지는 놀라운 환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이 어떤 궤도를 돌고 있으며, 왜 하루에 여러 번 해를 볼 수 있는지, 그에 따라 우주비행사들이 어떻게 생활 패턴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상세히 살펴본다. 1. 국제우주정거장의 위치와 공전 속도국제우주정거장(ISS)은 지구에서 약 400킬로미터 상공의 저지구궤도에 위치해 있으며, 시속 약 2만 8천 킬로미터의 속도로 지구를 공전하고 .. 2025. 6. 25. 우주는 어디까지 있을까 경계 없는 공간의 끝에 대해 과학이 답하는 방식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무한히 펼쳐진 듯한 별들의 세계가 펼쳐진다. 지구 바깥의 세계, 곧 ‘우주’는 우리에게 경외감과 동시에 끝없는 질문을 안겨주는 존재다. 그중에서도 가장 본질적인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이것이다. “우주는 도대체 어디까지 있는가?” 즉, 우주에는 끝이 있는가, 아니면 진짜로 무한한가?이 물음은 단순한 호기심의 문제가 아니라, 우주의 구조와 탄생, 미래에 대한 통찰을 요구하는 과학적 질문이다. 본 글에서는 우주의 규모를 설명하고, 관측 가능한 우주의 한계와 그 너머에 대한 과학적 가설들, 그리고 현재 과학이 밝혀낸 우주의 ‘끝’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1. 우리가 보는 우주는 어디까지인가?우주 전체의 크기를 논하기 전에, 현재 인류가.. 2025. 6. 24. 중력이 없는 세계 만약 중력이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우리는 매일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간다. 일상 속에서 물체가 떨어지는 것, 걸을 때 지면에 발을 딛는 감각, 물이 아래로 흐르는 현상까지 모두 중력의 작용이다. 하지만 너무 당연하게 여겨지는 이 힘이 만약 존재하지 않는 세계가 있다면 어떨까? 또는 중력이 갑자기 사라진다면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현실에서 완전한 무중력 상태는 존재하지 않지만, 지구 궤도 위의 우주 정거장처럼 중력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환경이나, 중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천체 위에서는 유사한 상황을 실험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가상의 시나리오로서 “중력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세계”를 가정하고, 그 안에서 벌어질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 생물학적, 기술적 변화들을 살펴보려 한다. .. 2025. 6. 24. 우주에서도 길을 잃을 수 있을까 우주 쓰레기 문제와 그 심각성우주에 쓰레기가 있을까? 질문 자체가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 현재 지구를 둘러싼 우주 공간은 각종 파편, 고장 난 인공위성, 연료 잔여물 등으로 점점 오염되고 있다. 이를 우리는 우주 쓰레기, 또는 우주 폐기물이라고 부른다.지구 궤도는 1957년 세계 최초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이래로 수많은 인공위성이 쏘아 올려졌고, 그에 따라 고장 나거나 수명이 끝난 장비들이 궤도에 그대로 방치되었다. 처음에는 그 수가 많지 않았지만, 21세기에 들어 위성 발사와 민간 우주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우주 쓰레기의 양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이 글에서는 우주 쓰레기의 정의와 현황, 이로 인한 위협,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과 기술적 대안을 중심으로, .. 2025. 6. 24. 다중우주 이론 우리의 우주는 하나뿐일까?오랫동안 인류는 자신이 속한 세계, 나아가 우주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끊임없이 고민해왔다. 한때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었고, 이후에는 태양계, 은하, 그리고 그 너머에 이르는 광대한 우주의 존재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 이론물리학과 우주론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우리 우주가 전부가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다중우주 이론이다.다중우주 이론이란, 우리가 속한 우주 외에도 수많은 우주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이러한 생각은 단순한 공상이 아닌, 현대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하고 있는 결과이기도 하다. 양자역학, 우주 팽창 이론, 끈 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다중우주의 존재를 예측하거나 설명.. 2025. 6. 22. 우주에 소리가 들릴까 소리 없는 공간에서 과학이 들려주는 우주의 ‘소리’우리는 일상에서 다양한 소리를 듣고 산다. 사람의 목소리, 자동차의 경적, 바람 소리, 음악 등 모든 소리는 공기라는 매질을 통해 전달된다. 이처럼 소리는 분자의 진동을 통해 퍼지기 때문에, 반드시 ‘전달 매질’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진공 상태인 우주에서는 과연 소리가 들릴 수 있을까?과학적 정답은 ‘아니다’이다. 우주 대부분은 진공에 가까운 환경이기 때문에, 인간의 귀로 직접 들을 수 있는 소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것이 우주에 진동이 없거나, ‘완전히 조용한 공간’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다양한 천체나 물리 현상에서 발생하는 파동, 진동, 방사선 등은 실제로 존재하며, 그것을 인간이 ‘소리’로 변환해 해석하는 방식이 가능하다.본 글에서는 왜 우주.. 2025. 6. 22. 이전 1 2 3 4 5 다음